그림관련자료

[스크랩] 이런 벼루 하나쯤 있었으면~~

晩松 2015. 7. 21. 10:13

  

 

 

옮겨온 사진이다.

단계연이라 한다

혹시나 하고 이곳 저곳 두리번 거리다 우연히 본 그림이다

아름답다는 표현이외는 아는 말이 없다

욕심이 앞서는 벼루다

 

서화 가까이 하는 사람치고 좋은 벼루 욕심 없는 사람 없을 것이다.

벼루에 대한 관심이 많다

 

벼루에 대한 글이 있어 옮겨 적는다  

좋은 벼루의 조건은 여러가지 인데 압축하면 다음과 같다. 

1. 돌 자체의 수분 흡수율이 없어서 먹물의 농도에 변화가 없어야 한다.
2. 봉망이 밀생균등하여 먹이 쉽게 갈리고 곱게 갈리며 먹물이 튀거나 거품이 뜨지 않아야 한다.
3. 돌빛이나 조각이 아름다워 감상가치가 있어야 한다.
4. 사용하기 편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단계연과 흡주연과 남포연중에 쉽게 좋은 벼루 구별법을 알아본다.
1. 소리로 구별하는 법
단계연은 손가락으로 두드려서 통나무 소리나 마른 진흙 덩어리 소리가 나는 것이 좋다.
흡주연은 쟁쟁한 금속성 높은 소리가 나는 것이 좋다.
남포연도 높은 소리가 나는 것이 좋다.
 
2. 촉감으로 구별하는 법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살짝 쓸어보아서 어린아이 살결처럼 부드러우나 아주 살짝 요철이 느껴지는 것이 좋다.
손톱으로 표면을 살짝 금을 그으면 흰선이 나오고 손으로 쓸면 곧장 지워지는 것이 좋다. 흰선이 확실하게 나올수록 먹은 빨리갈리지만 먹물은 거칠다.

 

3. 시각으로 구별하는 법
표면에 윤기가 나고 (왁스를 칠하여 윤이나는 것이 아니라)딱딱하기 보다는 부드러워 보인다.  
단계연이나 흡주연은 대개 벼루전체에 왁스를 칠하여 나오고 남포연은 표면만 칠하나 먹가는 부분(연당)은 칠하지 않아 회청색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개가 조각이 훌륭한 것이 많고 가끔 흡주연과 단계연 중에서 아주 좋은것은 조각없이 아주 단순하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단계연과 흡주연의 상품을 고르려고하는 사람은 남포연중에서 가장 좋은 백운진상석으로 만든 벼루를 사는 것이 좋을 것이다.  괜히 비싸게 주고서 후회할 것이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단계연과 흡주연은 옛날 단계연과 흡주연이 아닌 무늬만 비슷한 것이 태반이다. 단계연을 사고 먹이 안갈린다는 사람이 태반이고 흡주연을 사고 발묵이 안좋다는 사람이 태반이다. 경험으로는 단계연에는 부드러운 먹을 흡주연에는 단단한 먹을 가는 것이 좋지만 좋은 단계연과 흡주연,남포연은 어떤 먹이든 가리지 않는다(단, 연습용 싸구려 먹은 벼루에 흠집을 내므로 제외) 
 
좋은 벼루를 찾는 사람은 먼저 좋은 먹을 사용할 준비가 되어야 한다. 먹을 좋은 것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그냥 막벼루가 훨씬 사용하기 좋을 것이다.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겠지만 벼루는 단계연의 노갱,갱자암등이 좋고 흡주연은 라문이 좋다.  남포연은 백운 진상석이 가장 좋다.  

 

먹은 주문 생산품을 제외하고 일본의 고매원 홍화먹을 능가하는 것을 만나지 못했다.

 

그러나 위에 열거한 좋은 벼루와 먹은 가격이 상상을 초월한다. 몇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이르기까지 한다. 소장용이 아니라 실용으로 맘편히 그러나 좋은 작품을 위해 사용하려한다면 남포연 백운진상석과 고매원 홍화먹을 추천한다.  

 

 

 

 흡주연 아미문-- 중간중간 검은선이 아미문이다. 석질은 그야말로 환상이다.

 

 

 

 

 단계연 노갱 용문 -- 어뇌동과 초엽백 사이로 금은선과 빙문과 청화가 보인다. 조각도 놀랄만한 세각이다

 

 

 

 

 

박쥐로 주변을 주각한 흡주연으로 박쥐는 복을 뜻한다. 연당의 석문은 용의 비늘과같다하여 용린이라 불리기도하고 소나무의 껍질과 같다하여 송피문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석문의 이름이 구구절절하여 셀수없이 많다. 

 

 

 

 

 

 

흡주연제원갱-- 흡주연중에서 빛이 잘 나지 않는갱으로 품질에 문제가 있는것은 아니다 . 아마도 암석에 견운모 함유량이 적어서 일것이다.  
 

 

 

 

 

 

 

단계연과 흡주연을 말할때 흰빛이 좋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단계연의 경우 하얀 백단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뇌동 초엽백등이 많은 허연빛이 도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흡주연에서 흰빛은 견운모의 함유량이 많아 연당이 빛을 받아 반사하게되면 빛이나서 희게 보이는 것을 말한것이다. 위의 미자갱의 천마연이 그러한 것을 말해주는 대표적인 벼루이다.

 

 

 

 

 

 

 

 

 

 

 

 

 

 

 

아래 사진은 왕희지가 쓰던 것으로 알려진 아연(鵝硯)아다 

출처 : 날마다 좋은날
글쓴이 : 자등명 원글보기
메모 :

'그림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중섭과 이남덕에 대한 왜곡된 사실들  (0) 2016.06.10
[스크랩] 낙관  (0) 2015.07.21